본문 바로가기
웹개발지식쌓기

[back] 세션 설정 파일의 위치들 (프로젝트, 서버, 리눅스 profile 의 세션 설정)

by developer_j 2023. 6. 1.
728x90
반응형

제목의 세가지 방법을 통해 세션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근데 이 중에 어떤게 실효가 있는지 당최 모르겠더라. 나중에 세션 유효 시간을 바꾸려면 어떤 항목을 바꿔야하는지
실제로 우리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확인해보았는데, 우리는 모든 설정값이 달라서 많은 테스트 없이 식별이 가능했다!

 

1. 프로젝트의 web.xml [ 경로 : 프로젝트/WEB-INF/web.xml ]

<session-config>
	<session-timeout>120</session-timeout>
</session-config>


프로젝트의 WEB-INF 폴더 아래에 있는 web.xml
이게 적용되는거같음. 왜냐면 로그인 하고 나서 두시간 가까이 안건드리고 새로고침 했을 때 로그인 세션이 유효해서.

 

2. 서버 인스턴스의 설정파일인 web.xml [ 경로 : /usr/local/tomcat/서버 인스턴스/conf/web.xml ]

<!-- ==================== Default Session Configuration ================= -->
<!-- You can set the default session timeout (in minutes) for all newly   -->
<!-- created sessions by modifying the value below.                       -->

<session-config>
	<session-timeout>30</session-timeout>
</session-config>


/usr/local/tomcat/서버 인스턴스/conf에 톰캣 서버의 설정파일들이 위치한다.(회사마다 다를수도 있겠다.)

그 중 web.xml 파일을 열어본다.. vim web.xml 로 파일을 열어 확인
쭉 내리다보면 위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음.

 

3. linux 서버의 profile 파일 [ 경로 : (루트)/etc/profile file ]

/etc 디렉토리에 있는, profile 파일을 확인해보면

export TMOUT=300

가 적힌 부분이 있는데

이거는 리눅스 접근 시 세션 유휴시간이라고 한다. export 키워드는 내보내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는 한데, 여기서는 전역변수로 만든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 계정 상관없이 특정 변수를 어디서든 적용되도록 하는 키워드가 export
+) 파일을 수정하면 수정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source 명령어를 사용한다! (예- source /etc/profile)

 

 

결론은.. 시스템의 세션 유효시간은 프로젝트에 설정된 web.xml 파일 내의 세션 설정을 따르는 것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