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웹개발지식쌓기59

[IntelliJ] war 와 war exploded war 와 war exploded war: 웹 애플리케이션 압축파일. (=아카이브 파일)          ** 아카이브 파일 = 톰캣(was)에 의해 압축이 풀림. war exploded : 웹 애플리케이션 압축파일 의 압축 해제 형태.별도 디렉터리에 원본소스 복사하여 사용. 압축 해제된 디렉터리이므로 압축/압축해제 과정 필요 없음 그래서, intelliJ 톰캣 구성 시 선택한 아티팩트에 따라 프레임 비활성화 시 액션이 다르다.war를 선택했다면 매번 서버 껐다켜야함. war 선택했을 경우 war exploded 선택했을 경우 2024. 9. 25.
[IntelliJ] IntelliJ + SVN + tomcat 연동 삽질일기IntelliJ + SVN + tomcat 연동하기 순서 : git/svn 체크아웃 -> 프로젝트 빌드 -> 톰캣 구성 -> 톰캣 빌드 설정  1. git/svn 체크아웃버전 관리에서 가져오기 > svn/git 위치 입력 후 필요한 폴더를 로컬에 체크아웃   2. 프로젝트 빌드빌드 > 프로젝트 빌드  3. 톰캣 구성실행 > 실행 누르면 화면 중앙에 쪼꼬미 [실행/디버그 구성] 편집창이 뜸  눌러서 구성하면 된다.  톰캣서버 로컬 선택.   4. 톰캣 빌드 설정톰캣을 생성하면서 어떤 서비스를 배포하여 사용할 것인지 아티팩트를 선택한다.배포탭으로 이동 > 서버 시작 시 배포할 아티팩트를 선택 추가할 아티팩트가 없다면 아티팩트를 빌드해보시길 바랍니다. (아티팩트 확인 : 프로젝트 우클릭 > 모듈설정열기.. 2024. 9. 24.
[front] beforeunload 작동 안함 / visibilitychange 이벤트 목표 : 웹브라우저에서 새로운 창을 띄우고, 새 창이 종료되면 원래 창에서 상품 현황을 다시 불러온다.** 원래창 새창 간의 통신은 postMessage 사용.  1. 이슈 발생 : 태블릿에서 beforeunload 안의 소스가 전혀 실행되지 않아요 원래 소스)let popWinObj = window.open("http://localhost:8080/myItemList.html");popWinObj.onload = function() { //onload로 웹페이지가 로딩이 완료되면 popWinObj.onbeforeunload = function() { //beforeunload로 브라우저 종료할 때만 함수 실행되도록 함. ... func ... }}기존에는 새 창.. 2024. 8. 22.
[back] List<Class> 256개 초과 시 저장되지 않는 오류 다른 분들은 index 오류가 뜨던데 나는 오류 로그도 따로 안뜨는데 저장이 안되길래 몇시간동안 확인해보니 이 오류였다.저장 시 하위 상품을 같이 저장하는데, 하위 상품이 희한하게 256개만 초과되면 아무 반응이 없고 저장이 안됐다. 뭔가 익숙한 숫자.. 256.. 구글링 결과,1. 톰캣 설정에서 maxParameterCount 값을 -1(무제한)로 설정하거나 2. @initBinder 어노테이션을 Controller 안에 설정해주면 된다  1. maxParameterCount 값 수정server.xml  maxParameterCount 값을 따로 설정한 적은 없었는데, 출처 에 따르면 maxParameterCount 값은 defualt가 10000개이며, post로 전송 시 2MB가 전송크기 제한이라고.. 2024. 7. 22.
[IntelliJ] 폐쇄망에서 인텔리제이 라이센스 등록하기 인텔리제이 회사용 계정이 있지만 사내 폐쇄망에서 접근하려면 일반적인 로그인으로는 안된다. 폐쇄망에서 계정 등록하여 인텔리제이를 활성화 하는 과정을 기록해본다..! 1. 인텔리제이 로그인 인텔리제이 로그인 화면 접근 https://www.jetbrains.com/ko-kr/idea/ 로그인주소로 이동해서 로그인한다. 2. 오프라인 활성 코드 겟하기 로그인 된 화면에서, Download a code for offline activation 버튼을 클릭하여 오프라인 접속코드를 다운로드 한다. 압축폴더에 txt 파일로 저장된다. 저장되는 코드파일명 형식은 [라이센스코드 - 계정이메일 - for 버전] 인 듯 하다. 나는 인텔리제이를 2021년도 버전으로 깔았으니, 아래에 있는 텍스트파일에 있는 코드를 사용했다... 2024. 2. 8.
[front] 브라우저 탭 아이콘 적용하기 (favicon) 태그 안에 link 태그를 작성해주기. 2024. 2. 2.
[back] 자바의 직렬화 (Serialzation : implements Serializable) 자바의 직렬화 (implements Serializable) 1. java에서 직렬화란? 데이터 객체를 전송하기 쉬운 형태로, 객체 상태를 저장하는 일련의 바이트로 바꾸는 과정 (자료구조 저장) 처음에는 이렇게 적어놓은 글들을 보면서 뭔말이지 싶었는데 이렇게 말고는 설명할 방법이 .. 2. 직렬화를 사용하는 이유 구글링 해서 접한 여러 글들을 읽어봤을 때, 내가 이해한 바는 이렇다. - 시스템과 시스템 간에, 네트워크로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 데이터를 알아먹을 수 있는 자료구조 양식(class)이 있어야하고, 그 양식이 이 양식인지 알아차리기 위해서는 양식번호(serialVersionUID)가 있어야 한다. 내가 사용자에게 이름과 연락처를 적을 수 있는 양식을 줬지만, 사용자는 그 양식이 어떤.. 2024. 2. 1.
[front] 카카오톡 공유하기 이미지 수정하기, og:image 종종 공유하기 버튼이 들어가는 이벤트 페이지를 개발하면, 클라이언트가 특정 이미지가 공유되길 원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수정하는 곳이 og 태그. 태그 안에 작성해주면 된다 !! 예제 ) 내 티스토리 블로그 를 공유했을 때 1. og 태그란 - 오픈그래프 프로토콜을 의미 (창시자는 페이스북이라고 한다) - 메타태그의 property가 og로 지정되어 있는 정보를 긁어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페이지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보기용 정보를 가져올 수 있게 하는 태그다. 보통 title, image, description, url을 설정한다. image의 크기는 최소 6060x315px , 1.91:1의 비율, 권장 사이즈는 1200x630px이라고 하는데,, 이미지 크기 관련해서는 https://ogp.me/ 2024. 2. 1.
[front] Uncaught TypeError: object.function is not a function (jQuery와 javascript, node 가져오는 방법의 차이) 제이쿼리로 노드를 가져온 것 같은데, 해당 노드의 함수나 프로퍼티에 접근이 안될 때가 있다. 그럴 때 Uncaught TypeError: object.function is not a function 에러 발생함 이런 경우 내가 노드에 제대로 접근을 했나 봐야한다. 가져온 노드를 콘솔에 찍어보면 '? 이건뭐지?' 할 때가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예1) $("#selector").val() -> jquery 함수로 value 접근 $("#selector")[0].value -> dom property로 value 접근 document.getElementById("selector").value -> dom property로 value 접근 예2) $("#selector").attr('checked') ->.. 2024. 1. 30.
[front] disabled 가 아닌 노드 찾기 특정 input을 비활성화(disabled) 시키고, 비활성화되지 않은 노드들만 골라서 처리해야 할 때 var enablePerson = $('input[id^=person_]:enabled'); :enabled 속성을 사용하면 됨 2024. 1.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