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줌 페이지 접속
-줌 마켓플레이스에 접속
-로그인 후 Develop 탭 > Build App 선택
2. 사용하려는 앱 타입 선택
나도 다 써본 건 아니지만 구글링해가면서 정리를 해보자면..
1) Zoom Apps : 줌앱에 기능 추가(예- donation 기능, 설문조사 기능 등 특정 기업이 본사 기능을 줌에 추가하고 싶은 경우)
2) JWT : JWT == JSON Web Tokens.
JSON 으로 개발자의 인증데이터를 토큰형태로 주고받으면서 인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zoom 의 api를 사용
3) OAuth : JWT와 인증방식이 다를 뿐 인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zoom api를 사용한다는 점 동일
4) Chatbot : 모르겠다. 챗봇을 한번도 안만져봐서. 디스코드 챗봇같은 건지? 줌 미팅 안의 채팅창에 챗봇이 사용자로 존재하면서 키워드를 기준으로 답변하는 것으로 추측 중..
5) sdk : 줌 관련 개발도구모음. 로컬에 설치하고 import 하여 사용
사용법 예제 관련 링크
- https://joycehong0524.medium.com/android-zoom-sdk-9ec65f49055a
- https://tobepro.tistory.com/32
6) Webhook Only : webhook = 역방향 api.
줌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내가 개발한 url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함
이 중에서 일단 그나마 익숙한 JWT 부터 시작해본다.
728x90
반응형
'웹개발지식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Zoom Api 사용해보기 - 3 [Webhook] (0) | 2022.08.31 |
---|---|
Zoom Api 사용해보기 - 2 [JWT] (0) | 2022.08.30 |
[back] 초간단 Interceptor 사용법 (0) | 2022.08.16 |
[front] 페이스북 글 공유하기 포스팅 api (0) | 2022.08.03 |
[오류] cron 표현식 오류 - Encountered invalid @Scheduled method 'excute': For input string: "6L" (0) | 2022.06.17 |